[Java Study] 4주차 결과물
이화중 : OOP 5대 원칙
이창환 : 제네릭
이상은 : 추상클래스와 인터페이스
김종근 : 정규표현식
김동준 : 자동차 게임을 구현하면서 느낀점
자바스터디 2주차 과정 결과물
이창환, 김동준 : https://github.com/JNU-econovation/java-study-racingGame/pull/16
위제현, 이상은 : https://github.com/JNU-econovation/java-study-racingGame/pull/18
이화중, 김종근 : https://github.com/JNU-econovation/java-study-racingGame/pull/15
이혁진 : https://github.com/JNU-econovation/java-study-racingGame/pull/17
데일리 미팅
제현 : 페어하면 헤매는거 같긴 한데 그 시간이 짧은 것 같아서 좋았다. 혼자 하는거보다 결과물도 더 나은 것 같다. 충돌나는건 없었다. 그리고 이번 일주일동안 과제 하느라 자바스터디 할거 밀렸는데 못하고 있고 컴퓨터도 다운돼서 이것저것 다시 세팅하느라 바쁜 한주였다.
동준 : 페어프로그래밍 하면서 되게 10분동안 집중하는거에 있어서 좋은 방식인거같고 같이 한 창환이형이 훨씬 잘하셔서 배울 것도 많았다. 제가 약간 상대적으로 코드를 많이 구현할 줄 몰라서 미안하기도 했고, 아쉬웠던 것 같다. 건강은 좋아지고 있는 것 같아서 다시 정신 차리고 있다.
종근 : 화중이형이랑 하는데 좋았다. 코드를 짜면서 딴짓을 안하게 돼서 좋았고, 하면서 느낀건데 10분씩 재고 하는건데 어떤 방향으로 할지 미리 정하고 하는게 좋을 것 같다고 느꼈다. 수요일에 하고 금요일에 모였었는데 동아리 모임 시간 전에 1시간만 하면 될 줄 알았는데 의외로 나눌게 많아서 다시 한 번 모였다. 그 시간이 중요하다고 느꼈다. DTO 개념이 헷갈려서 그거에 대해 이야기를 많이 했었다. 아직 이해가 잘 안가서 헷갈리는 부분이 있다. 개인적으로 느낀거는 코드를 짜는게 답이있다고 생각했는데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이 여러가지라서 의논한다는게 새로웠다. 더 좋은 방법을 찾는다는 것에서 좋은 경험을 한 것 같다. 한 주간 과제는 별로 없었는데 비염때문에 고생 많이 했다. 몽롱한 상태로 일주일 보낸 것 같다.
창환 : 저는 페어프로그래밍 하면서 조금 저랑은 안맞다는 생각을 많이 했다. (페어프로그래밍 오해 해결) 상대방이 생각할 거를 뺏은 것 같기도 해서 맞는 것인지도 헷갈리고 잘 모르겠다. 계속해서 코딩하면서 규칙같은 것을 배우는 것에 의의를 두고 있다. 요즘에 체력적으로 뭔가 안좋은 것 같아서 12시 안에 자기 프로젝트를 할 것이다. 롤을 조절하겠다.
상은 : 저는 이번에 과제 봤을 때 할게 많이 없다고 생각했는데 막상 하다보니까 막히는 부분이 있어서 더 만나고 그랬던 것 같다. 처음에 상의를 하고 시작해서 그런지 처음엔 괜찮게 했었는데 나중 부분은 혁진 오빠가 올려주신거 보고 잘 마무리 됐다. 과정에서는 딱히 주도적으로 했던 것은 없었던 것 같다. 알고리즘 스터디 그만뒀는데 그만큼 게을러져서 코드리뷰도 제대로 못하고 죄송하다.
화중